T/H

알베르트 슈바이처 (Albert Schweitzer, 1875-1965) - 독일 태생의 신학자, 의사, 음악가, 철학자

OPYEB 2024. 11. 27.
반응형

알베르트 슈바이처 (Albert Schweitzer, 1875-1965) - 독일 태생의 신학자, 의사, 음악가, 철학자


1. 다재다능한 청년기

- 엘자스 출신의 목사 가정:
    - 슈바이처는 1875년 1월 14일 독일령 엘자스의 카이저스베르크에서 태어났습니다.
    - 아버지 루이스는 루터파 목사였고, 어머니 아델레는 평범한 주부였습니다.
    - 어린 슈바이처는 음악과 신학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습니다.
- 신학과 음악의 두 날개:
    - 슈바이처는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 신학, 철학, 음악을 공부했습니다.
    - 그는 파리 음악원에서 오르간을 배워 오르간 연주자이자 바흐 연구가로서도 명성을 떨쳤습니다.
    - 1899년 슈바이처는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1902년에는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합니다.


2. 의학 공부와 아프리카행

- 30대의 진로 선택:
    - 1905년, 30세의 슈바이처는 평생을 아프리카 선교 사업에 바치기로 결심합니다.
    - 그는 의학이 아프리카인들을 돕는 데 가장 실질적이라 판단하고 의대에 들어갑니다.
    - 38세가 되던 1913년, 슈바이처 부부는 마침내 아프리카 가봉으로 향합니다.
- 람바레네 병원 설립:
    - 가봉의 람바레네에 정착한 슈바이처 부부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진료소를 차립니다.
    - 슈바이처는 의사로, 아내 엘렌은 간호사로 일하며 아프리카인들을 돌봅니다.
    - 이것이 바로 훗날 '정글 속의 병원'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게 될 람바레네 병원의 시작이었습니다.


3. 람바레네에서의 삶과 철학

- 아프리카인들과 함께 한 반평생:
    - 1차 세계대전으로 잠시 중단되긴 했으나 슈바이처의 람바레네에서의 삶은 50여 년간 이어졌습니다.
    - 람바레네 병원은 아프리카인들에게 무료 진료를 제공하는 'reverence for life(생명에 대한 경외)'의 현장이었습니다.
    - 슈바이처는 의사로서의 활동과 더불어 신학, 철학, 음악에 대한 연구와 집필도 계속해 나갔습니다.
- 생명 철학의 정립:
    - 슈바이처 사상의 핵심은 '생명에 대한 경외'입니다.
    - 그에게 있어 선이란 생명을 유지하고 고양시키려는 의지요, 악이란 생명을 파괴하고 억제하려는 의지였습니다.
    - 슈바이처는 모든 생명체가 신성하며, 생명 앞에 겸손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 반핵운동의 선구자:
    - 1950년대에 접어들어 슈바이처는 핵무기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 그는 1957년 '핵무기에 반대하는 선언'을 발표하고 방사능 낙진 피해를 고발했습니다.
    - 노벨평화상 수상자로서 슈바이처의 메시지는 인류의 양심에 호소하는 깊은 울림이 되었습니다.


4. 노년기와 영향

- 세계적 명성:
    - 1952년 슈바이처의 인도주의적 삶은 노벨평화상 수상으로 결실을 맺습니다.
    - 가봉에서의 활동상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가 제작되어 슈바이처는 세계적 명성을 얻게 됩니다.
    - 1955년에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로부터 '명예 기사' 작위를 받기도 했습니다.
- 람바레네에서의 마지막 순간까지:
    - 1965년 1월 슈바이처는 지병이 악화되어 람바레네 병원에 입원합니다.
    - 아프리카를 떠나 고국에서 치료받기를 권유받았지만 슈바이처는 이를 고사했습니다.
    - 결국 그해 9월 4일 슈바이처는 람바레네에서 90년의 생을 마감합니다.
- 슈바이처의 유산:
    - 슈바이처는 말과 행동이 일치한 참된 실천가였습니다.
    - 그가 남긴 생명 철학과 인도주의 정신은 오늘날에도 깊은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 람바레네 병원은 지금도 아프리카인들의 건강과 복지를 위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신학자이자 의사, 음악가이자 철학자로서 '삶이 곧 메시지였던' 희대의 인도주의자였습니다. 그에게 있어 의학은 단순한 생계 수단이 아니라 생명에 대한 경외를 실천하는 일이었습니다. 아프리카의 가난한 이들 곁에서 반평생을 바친 슈바이처의 헌신은 참다운 박애정신의 실현이었다고 하겠습니다. 핵무기 경쟁이 난무하던 냉전의 한복판에서 슈바이처가 발신한 생명주의 메시지는 인류 공동체의 양심을 일깨우는 등대와도 같았습니다. 그의 삶은 지식인의 사회적 실천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시금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성과 속을 가르는 경계를 초월해 생명의 존엄성을 일깨운 슈바이처. 그가 남긴 삶의 메시지는 분열의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여전한 울림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