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의 과정

OPYEB 2024. 9. 21.
반응형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의 과정


1. 동유럽 사회주의권의 변화

- 소련의 개혁·개방 정책인 페레스트로이카의 영향:
  - 1985년 등장한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경제 효율화와 서방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 이는 동유럽 국가들에도 파급효과를 미쳐, 개혁의 바람이 일기 시작했습니다.
- 폴란드 자유노조 운동의 확산:
  - 1980년 결성된 자유노조 연대는 비공산 세력을 규합하며 정부에 대항하는 반체제 운동의 구심점이 되었습니다.
  - 1989년 원탁회의를 통해 자유선거를 실시하기로 합의하면서, 동유럽 최초로 공산당의 통제에서 벗어난 정부가 들어섰습니다.
-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잇따른 체제전환:
  - 폴란드발 개혁 물결은 헝가리,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으로 빠르게 전파되었습니다.
  - 각국에서 자유선거가 실시되고 공산정권이 무너지면서, 사회주의 체제는 총체적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2.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독일 통일 논의

- 동독 내 개혁 요구의 거세진 목소리:
  - 1989년 초 동독에서는 개혁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이어졌습니다.
  - 특히 라이프치히 시위, 동베를린 알렉산더광장 집회 등에는 수십만 명이 운집해 호네커 정권에 맞섰습니다.
- 베를린 장벽의 붕괴:
  - 1989년 11월 9일, 동독 정부는 주민들의 자유 왕래를 허용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이날 밤 수많은 동독 주민들이 국경 검문소를 넘어 서베를린으로 몰려들었고, 장벽 해체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 독일 통일 방안을 둘러싼 논의:
  - 장벽 붕괴 이후 동서독 정상들은 통일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
  - 초기에는 국가연합 형태의 단계적 통합이 거론되었으나, 곧 서독 기본법에 따른 동독의 편입 방식이 유력해졌습니다.
- 구 연합국들과의 합의:
  - 독일 통일에는 구 연합국들(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의 동의가 필요했습니다.
  - 1990년 9월 '2+4 회담'을 통해 연합국들은 통일독일의 완전한 주권을 인정하는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3. 통일독일의 수립과 통합과정

- 동서독 화폐·경제·사회 통합:
  - 1990년 5월 동서독 간 화폐·경제·사회 통합조약이 체결되어 서독 마르크화의 단일 유통이 이뤄졌습니다.
  - 7월에는 동독이 서독 기본법을 받아들이는 내용의 국가조약이 발효되었습니다.
- 통일조약 체결과 통일 선포:
  - 1990년 8월 동서독 의회는 10월 3일부로 동독이 서독에 편입되는 내용의 통일조약을 체결했습니다.
  - 10월 3일 0시를 기해 독일 통일이 공식 선언되었고, 베를린은 통일독일의 수도로 지정되었습니다.
- 구동독 지역 재건을 위한 노력:
  - 통일 후 서독 정부는 구동독 지역의 경제 재건과 사회간접자본 확충에 막대한 재정을 투입했습니다.
  - 그러나 실업 문제, 임금 격차, 사회적 갈등 등 통합의 후유증은 장기간 지속되었습니다.


  

4. 통일 독일의 위상과 유럽통합

- 유럽연합(EU)에서 독일의 위상 강화:
  - 통일로 인구와 영토, 경제력이 확대된 독일은 EU 내에서 영향력 있는 국가로 부상했습니다.
  - 하지만 주변국들의 우려도 제기되어, 독일은 EU 통합 심화에 적극 나서는 등 균형외교를 모색했습니다.
- 독일의 東方外交 전개:
  - 통일 이후 독일은 중·동유럽 국가들과의 관계 증진을 위한 동방외교를 추진했습니다.
  - 폴란드, 체코 등과 화해를 도모하고 러시아와도 실리적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갔습니다.
- EU통합의 가속화:
  - 독일 통일은 유럽 통합에도 탄력을 더해주었습니다.
  - 1992년 마스트리흐트 조약으로 EU가 출범했고, 이후 단일통화 유로화 도입, 정치통합 논의 등이 본격화되었습니다.


  

5. 통일 독일의 과제와 전망

- 경제·사회적 불균형 해소:
  -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동서독 간 경제력, 생활수준 격차는 상당 부분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 불균형 해소를 위한 재정 지출은 독일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이민·난민 문제에 따른 사회 갈등:
  - 시리아 내전을 계기로 대량 유입된 난민들의 수용을 둘러싸고 독일 내 논란이 일었습니다.
  - 이는 반이민 정서와 극우 포퓰리즘으로 이어지며, 사회 균열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 포스트 메르켈 시대의 리더십:
  - 16년간 집권한 메르켈 총리가 물러난 지금, 독일의 미래 비전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 코로나 위기 속 경제회복, EU 결속력 제고, 미중 갈등 속 외교 자율성 확보 등이 차기 정부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독일 통일은 냉전의 종식을 알리는 상징적 사건이었습니다. 40여년에 걸친 분단의 상처를 씻어내고 민족의 재결합을 이룬 쾌거였습니다. 통일 이후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독일은 통합의 과정에서 적잖은 진통을 겪기도 했지만, 꾸준한 노력을 통해 정치·경제 강국의 위상을 굳건히 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들어 불거진 동서 간 불균형과 사회 갈등, 유럽 및 세계무대에서의 리더십 과제 등은 앞으로 독일이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습니다. 분단을 극복한 저력을 바탕으로, 이 같은 도전을 슬기롭게 헤쳐나가는 독일의 모습을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