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

닉슨의 중국 방문과 미중 데탕트 (1972) - 냉전 구도 변화의 서막

OPYEB 2024. 8. 20.
반응형

1. 닉슨의 중국 방문 배경

- 미국의 대중 인식 변화: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20여년 간 미국은 중국을 적대시하며 교류를 끊고 있었습니다.
    - 그러나 1960년대 후반 들어 중국의 핵무기 보유, 문화대혁명 종결 등으로 중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기 시작했습니다.
    - 닉슨 대통령 등 미국 지도층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이 냉전 전략상 미국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기 시작했습니다.
- 소련의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필요성:
    - 당시 소련은 동유럽에서 힘의 우위를 바탕으로 팽창정책을 펴고 있었고, 핵무기 경쟁도 계속 이어지고 있었습니다.
    - 반면 중소 관계는 1960년대 들어 이념 및 국경 분쟁 등으로 악화일로를 걸었습니다.
    -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 소련을 견제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 베트남 전쟁 종결을 위한 중국의 도움 기대:
    - 1970년대 초 베트남전의 장기화로 미국 내 반전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었습니다.
    - 닉슨 행정부는 중국이 북베트남에 영향력을 행사해 전쟁을 종결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습니다.
    - 이를 위해서라도 미중 관계 개선이 시급한 과제였습니다.



2. 닉슨 방중의 성사 과정

- 키신저의 밀사 파견:
    - 1970년 말 미 국가안보보좌관 헨리 키신저는 파키스탄을 통해 중국에 밀사를 보내 관계 개선 의지를 타진했습니다.
    - 중국 또한 소련을 견제하기 위해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했습니다.
- 핑퐁 외교의 전개:
    - 1971년 4월 일본에서 열린 세계탁구선수권 대회에서 중국과 미국 선수단이 우연히 접촉하게 되었습니다.
    - 마오쩌둥의 지시로 중국 정부는 미국 탁구 선수단을 중국에 초청했고, 이를 계기로 양국 교류의 물꼬가 트였습니다.
    - 언론은 이를 '핑퐁 외교'로 명명했고, 닉슨 방중의 사전 단계가 되었습니다.
- 키신저의 북경 밀방문:
    - 1971년 7월, 키신저는 파키스탄을 방문한다는 명목으로 북경을 몰래 찾아갔습니다.
    - 그는 저우언라이 총리와의 회담에서 닉슨의 방중 문제를 구체적으로 논의했습니다.
    - 쌍방은 주요 쟁점에 이견이 있었으나, 정상회담 개최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습니다.
- 상하이 코뮤니케 발표:
    - 키신저 밀방문 사실이 공개된 이후, 미중 양국은 정상회담 준비 협상에 돌입했습니다.
    - 1972년 2월, 닉슨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상하이 코뮤니케가 발표되었습니다.
    - 이 문서는 양안 문제, 한반도 문제 등 주요 쟁점에 대한 양국 간 합의사항을 담았습니다.



3. 닉슨의 중국 방문 일정과 주요 내용

- 북경 도착과 마오쩌둥 면담:
    - 1972년 2월 21일, 닉슨 대통령은 중국 수도 북경(현재의 베이징)에 도착했습니다.
    - 공항에서 저우언라이 총리의 영접을 받은 닉슨은 당일 저녁 마오쩌둥 주석을 면담했습니다.
- 정상회담 진행:
    - 2월 21-28일간 북경, 항저우, 상하이에서 양국 정상 및 고위관리들 간 단독·확대 회담이 이어졌습니다.
    - 미중 양국은 국제정세, 양자 관계, 한반도 문제, 대만 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습니다.
- 상하이 코뮤니케 서명·발표:
    - 2월 27일, 양국은 방문 결과를 담은 상하이 코뮤니케에 서명하고 발표했습니다.
    - 코뮤니케는 대만문제 등 첨예한 사안에 대한 의견 불일치를 인정하면서도, 양국관계 정상화를 위한 공동 노력을 다짐했습니다.



4. 닉슨 방중의 성과와 영향    

- 미중 관계 개선의 이정표:
    - 닉슨의 중국 방문은 20여 년간 단절되었던 미중 관계를 복원하는 결정적 계기였습니다.
    -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은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신뢰를 쌓을 수 있었습니다.
    - 이는 미중수교(1979년)로 이어지는 관계 개선의 디딤돌이 되었습니다.
- 중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
    - 방중을 통해 중국은 국제사회에서의 고립에서 벗어나 주요 행위자로 부상하게 되었습니다.
    - 1971년 10월 유엔총회에서는 중국의 유엔 합법 대표권이 인정되었습니다.
    - 이후 중국은 강대국 반열에 올라 국제무대에서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 냉전 구도의 변화:
    - 닉슨 방중은 기존의 양극 체제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 미중 데탕트로 동아시아에서 힘의 균형이 달라졌고, 소련의 입지가 상대적으로 약화되었습니다.
    - 이를 통해 미국은 닉슨 독트린에 따라 한국, 대만, 일본 등 아시아 동맹국에 대한 방위 부담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5. 오늘날 미중 관계에 대한 영향

- 경쟁과 협력의 이중 관계:
    - 지금의 미중 관계 역시 '닉슨 방중' 정신을 계승하여, 갈등과 대립 속에서도 소통과 협력의 끈을 놓지 않으려 애쓰고 있습니다.
    - 무역·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서도 기후변화, 북핵 문제 등에서의 협력은 모색되고 있습니다.
- 대만 문제의 불씨:
    - 상하이 코뮤니케에서 대만 문제는 불가피하게 모호하게 처리되었습니다.
    - 중국의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하면서도, 미국은 중화민국과의 비공식 관계를 지속했습니다.
    - 이는 양안 간 갈등의 불씨로 남게 되었고, 오늘날까지도 미중 관계의 뇌관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21세기 미중관계에 대한 교훈:
    - 50년 전 닉슨 방중 당시와 유사하게, 현재 미중은 협력과 대립이 교차하는 복합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쌍방은 닉슨-마오쩌둥 시대의 정상회담 정신을 되새겨, 냉정한 국익 계산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갈등을 관리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 무역, 기술, 인권, 대만 등 쟁점 현안에서 양보와 타협의 실마리를 찾을 때, 미중이 Win-Win 할 수 있을 것입니다.



6. 결론

닉슨의 중국 방문은 냉전사의 획기적 전환점이자, 현대 국제관계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양국 정상의 pragmatic한 접근과 통 큰 결단은 냉전의 앙금을 걷어내고 새로운 협력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아 마땅할 것입니다.

그러나 미중 간 근본적 이해관계의 충돌과 가치관의 차이까지 일소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는 상하이 코뮤니케에서 양측의 입장 차이를 확인한 대목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대만 문제를 비롯한 '뜨거운 감자'들은 결국 후대에 넘겨진 셈입니다.

21세기 들어 G2로 격상된 미중 양국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체제 경쟁, 무역 분쟁, 남중국해, 첨단기술, 대만해협, 인권 등 다양한 현안을 둘러싸고 마찰과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양국 간 Miss-Trust가 더욱 깊어진 상황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지난 냉전기 데탕트의 경험과 교훈을 되살려야 합니다. 양국 지도자들이 근시안적 정치 논리에서 벗어나 인류 보편가치와 국제사회 공동이익의 관점에서 사고할 때, 오늘의 난제를 풀 수 있는 열쇠를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닉슨 방중의 정신을 21세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는 지혜와 용기가 양국 엘리트들에게 요청되는 때입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