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

메이지 유신 - 근대 일본의 탄생과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1868)

OPYEB 2024. 8. 21.
반응형

1. 에도 막부 말기의 위기

- 쇄국 정책으로 인한 내우외환:
    - 에도 막부는 200년 이상 쇄국 정책을 펼쳐 왔지만, 19세기 들어 한계에 직면했습니다.
    - 서구 열강의 개항 압력이 거세짐과 동시에 국내 경제는 장기 불황에 시달렸습니다.
- 존왕양이 운동과 尊王攘夷 사상:
    - 皇室을 존숭하고 夷狄(서양)을 물리치자는 존왕양이 사상이 사무라이 계층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습니다.
    - 미토학, 국학 등을 배경으로 한 존왕양이 운동은 막부 타도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 삿초의 대두와 막부 권위의 실추:
    - 막부 영주인 다이묘들 가운데 '삿초'라 불리는 혁신 세력이 성장했습니다.
    - 사쓰마번, 조슈번 등은 막부에 반기를 들고 천황 친정을 내세웠습니다.



2. 메이지 유신의 전개

- 조슈·사쓰마의 동맹과 막부 타도:
    - 사쓰마의 사이고 다카모리, 조슈의 기도 다카요시 등이 막부 타도를 위해 손을 잡았습니다.
    - 1867년 12월, 조슈·사쓰마군은 교토로 진격해 왕정복고를 선포하고 막부에 정권 반환을 요구했습니다.
- 보신전쟁과 천황 친정 선포:
    - 막부 군대와 조슈·사쓰마군 간의 전투인 보신전쟁(1868-1869)이 벌어졌습니다.
    - 1868년 1월, 천황 친정이 선포되었고, 왕정복고 세력이 새 정부를 구성했습니다.
- 폐번치현과 중앙집권화:
    - 1871년 7월, 메이지 정부는 번을 폐지하고 현을 설치하는 폐번치현을 단행했습니다.
    - 이로써 260여개 번은 해체되고, 중앙집권 국가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3. 급격한 근대화 개혁

- 문명개화 정책의 추진:
    - '문명개화'를 내세운 메이지 정부는 서구식 근대화 정책을 적극 추진했습니다.
    - 단발령, 태양력 사용 등 외형적 개혁과 함께 근대 교육제도, 징병제 등이 도입되었습니다.
- 산업혁명의 추진:
    - 메이지 정부는 수출 진흥을 위해 전략 산업 육성에 힘썼습니다.
    - 官營 모범 공장을 세우고 민간 기업을 지원하며 본격적 산업혁명이 전개되었습니다.
- 자유민권운동과 입헌 체제의 모색:
    - 1870년대부터 民選議院 설립을 요구하는 자유민권운동이 일어났습니다.
    - 이타가키 타이스케 등은 입헌 군주제를 주장했고, 1890년 제국의회 개설로 이어졌습니다.
- 불평등조약 개정:
    - 메이지 정부는 구미 열강과의 불평등조약 개정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 治外法權 철폐, 협정 관세 인상 등을 관철시키며 제국주의 열강에 당당히 맞섰습니다.



4.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 정한론과 조선 침략 야욕:
    - 메이지 일본은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정한론을 내세우며 팽창주의 노선을 걸었습니다.
    - 1870년대부터 무력 불평등조약 체결을 강요하는 등 조선 침략을 서슴지 않았습니다.
- 청일전쟁과 조선에 대한 지배권 장악:
    -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계기로 청일전쟁이 발발했습니다.
    -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시모노세키조약을 통해 청의 조선 종주권을 무력화하고,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사실상 장악했습니다.
- 러일전쟁과 한국 병탄:
    - 한반도를 둘러싼 러시아와의 각축전 끝에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했습니다.
    -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포츠머스 조약으로 러시아의 남하를 저지하고, 이어 을사늑약(1905)과 한일병합조약(1910)으로 한국을 식민지화했습니다.



5. 메이지 유신의 역사적 의의

- 동아시아 최초의 근대 국민국가:
    -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봉건 체제를 청산하고 중앙집권적 근대국가 체제를 수립했습니다.
    -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입헌 군주제와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갖춘 국민국가로 발돋움했습니다.
- '탈아입구'의 상징:
    - 메이지 일본의 근대화는 서구 문물의 적극적 수용과 전통의 탈피라는 특징을 보여주었습니다.
    - 이는 이후 동아시아 각국의 근대화 과정에 일종의 모델이 되었습니다.
- 일본 제국주의의 발원:
    - 그러나 메이지 유신은 천황 중심의 국수주의와 대외 팽창주의의 토양이 되기도 했습니다.
    - 이는 이후 군국주의 일본이 아시아 침략을 정당화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6. 결론

메이지 유신은 에도 막부 체제가 막을 내리고 근대 일본이 태동하는 일대 전환점이었습니다. 존왕양이 세력이 막부를 무너뜨리고 천황 친정을 내세우면서 일본은 근대국가로의 대변혁에 돌입했습니다. 문명개화를 기치로 내건 메이지 정부는 중앙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산업혁명을 추진하며 자본주의 경제 발전의 토대를 놓았습니다. 동시에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을 위해 군사력을 앞세운 제국주의 팽창의 길로 접어들었습니다.

메이지 유신의 역사적 유산은 이중적입니다. 한편으로 일본은 동아시아 최초의 근대 국민국가로 발돋움하며, '탈아입구'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이는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 지식인들에게 근대화의 충격과 자극을 주기에 충분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메이지 일본이 걸은 길은 천황제 전제와 국수주의, 군국주의로 점철된 비극의 역사였습니다. 무력을 앞세운 팽창주의 노선은 아시아 주변국 침략으로 이어져 數千萬 생명을 앗아갔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메이지 유신에서 읽어내야 할 교훈은 무엇일까요.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민족의 자주성과 주체성을 지켜내는 것, 그리고 국가 발전이 평화와 공존의 길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150여년 전의 거대한 변혁이 동아시아 근현대사에 남긴 빛과 그림자를 되짚어보며, 우리는 21세기 동아시아 평화 질서 구축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은 바로 과거와 미래를 잇는 우리 세대의 역사적 소명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